처음 개발할 당시, html을 이용하여 web server를 구현했었다.
pug, jade 등을 활용할 수 있지만,
html과 양식이 완전히 같아 사용하기 편했던 ejs로 프로젝트 생성을 하려 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콘솔로, 프로젝트를 생성할 위치로 이동한 후, 아래를 실행하면 된다.
express --view=ejs APPNAME
새로운 폴더가 생기는 것이 싫다면, 아래와 같이 할 경우 해당하는 위치에 모든 프로젝트가 한번에 생긴다.
express --view=ejs
이 때, 기본값은 app.js이며, port는 기본으로 3000 포트가 설정되는 것으로 알고있다. (정확하지 않다)
bin/www 파일을 수정하여 원하는 포트에서 서버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 Before
var port = normalizePort(process.env.PORT || '3000');
app.set('port', port);
// After
var port = normalizePort(process.env.PORT || '80');
app.set('port', port);
또한, 서버가 정상 구동됐음을 확인하기 위해, bin/www의 내용 일부를 수정한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서버가 재실행된 경우에도 로그 분석에 용이하여 남겨둔다)
// Before
server.listen(port);
// After
server.listen(port, function() {
console.log("Server Listen at port %d", port);
});
여기까지가 기본 프로젝트 생성이다.
우선 local에서 확인을 위해 포트가 3000번이라는 가정 하에, 웹서버를 로컬에서 구동시켜보도록 한다.
서버 실행을 위해 기본으로 설정된 package.json를 참조하여 module을 설치한다.
npm install
이후, node 명령으로 서버를 구동시켜본다.
node ./bin/www
또는 npm start 로 실행시킬수도 있다.
적당한 브라우저(chrome 등)를 열어, localhost:3000 으로 접속해보면, 웹 서버가 정상구동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ynamoDB Node.js 에러처리 (수정중) (0) | 2020.11.30 |
---|